이번 시간에서 가설 검증과 실제로 T값 구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.
1) 표집분포란
모집단에 사례수 n의 표본을 무작위로 반복 표집 하여 구한 통계치들로 이루어진 이론적인 확률분포
평균, 표준편차, 비율, 상관계수 등 모든 표본통계량에는 표집 분표가 존재한다.
2) 표본분포란
실제 관찰된 자료에 근거하여 작성된 경험적 분포 <-> 이론적으로 도출(표집 분포)
원점수로 구성 <-> 표본 통계치로 구성 (표집 분포)
3) 표준오차란
모집단 표준편차를 사례수의 제곱근으로 나눈 값과 같다. 표준오차는 모집단의 표준 편차에 비례한다.
또 표준오차는 표본의 사례수 n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므로 표본크기가 클수록 표본 평균은 모집단 평균에 근접하다.
가장 중요한 가설 검증 이 가설 검증에서 교수님이 강조한 가설 검증은 영가설과 대립가설이였다.
영가설은 통계 수업 내내 나오고 영가설의 기준으로 결괏값이 유의하다 유의하지 않다를 판단하는 가장 중요하다.
유의 확률이 0.05보다 같거나 작으면 영가설을 기각한다. |
위에 표에 적은 말만 기억하면 됩니다. 대부분의 논문에 유의 값을 볼 때 기준이 0.05로써 0.05보다 작거나 같으면
어떠한 것은 영향이 있다는 이야기입니다. 영가설이 기각되면 대립 가설이 됩니다.
영가설은 ≤=≥와 같은 부호를 포함하다.
대립 가설은 >,≠, <와 같은 등호를 포함하지 않는다.

가설 검증의 기초개념
(1) 표집 분포 : 가설 검증에 영가설 기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이론적 확률 분포 (Z분포, t분포, F분포, X² 분포)
(2) 검증 통계량 : 가설 검증에서 영가설 기각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통례량(Z, t, X², F 등) - 추리 통계의 핵심
(3) 기각역 : 영사설을 기각할 수 있는 표절 분포 영역을 가리킨다. (유의 수준 (α) 혹은 임계치에 따라 결정)
(4) 비기 각역 : 영가설을 기각할 수 없는 표집 분포의 영역을 말한다.
(5) 임계치 : 표집 분포에 기각 역과 비기 각역을 구분하는 검증 통계량의 값을 뜻한다. 기각 값이라고 한다.
(검증 형태, 표집 분포의 종류(Z분포, t분포, F분포, X² 분포), 유의 수준(α) , 자유도에 따라 결과)
(6) 유의 수준 : 영가설이 참일 때 영가설을 기각 확률, 즉 제1종 오류를 범할 확률로 흔히α라고 한다.
(7) p(유의 확률) : 표집 분포에서 표본에서 구한 검증 통계량의 값과 같거나 더 극단적인 값을 얻을 확률
양방 검증:p는 표본에서 구한 것보다 절댓값이 같거나 더 큰 검증 통계량의 값을 표 지분 폰에 얻을 확률
좌측 검증:p는 표본에서 구한 것보다 더 작은 검증통계량의 값을 관찰할 확률
우측 검증:p는 표본에서 구한 것보다 더 큰은 검증 통계량의 값을 관찰할 확률

p | 해석 |
p<.01 |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하다 영가설을 부정하는 강력한 증거로 간주된다. |
.01<p<.05 | 통계적으로 유의하다 영가설을 부정하는 적절한 증거로 간주된다. |
p>.05 |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다. 영가설을 기각 할 수있는 증거로 불충분하다. |
독립 표본 T검정(양방 검증) 예시 1

자료를 입력합니다. 변수에 교수학습 방법 2가지 (1 = 토론식 , 2 = 강의식)과 성적 입력합니다.

아래의 변수 보기 클릭합니다.


*이름 : 1셀 강의방법 (집단 변수) / 2셀 성적 (검정 변수)
*레이블 값 : 설명 아무거나 적어도 됩니다. (내가 알기 위해서 보조 설명 기능)
*값 : 기준값 : 1 , 레이블 : 토론 -> 추가 / 기준값 : 2 레이블 : 강의 -> 추가 입력 후 확인

분석- 평균 비교 - 독립 표본 T검정 클릭

강의방법 : 집단 변수 / 성적 : 검정 변수

집단 변수에 강의방법 클릭 후 집단 정의 클릭 후 데이터에 일력 한 기준 값을 1 : 토론 / 2 : 강의식 넣어줍니다.

붙어 넣기를 클릭하면 명령문이 나옵니다.
( 명령문은 켜 둔 상태로 작업을 할 경우 아래에 계속 추가 추가됩니다. )
전체 선택 후 초록색 세모 아이콘 클릭


T-TEST GROUPS=강의방법(1 2)
/MISSING=ANALYSIS
/VARIABLES=성적
/ES DISPLAY(TRUE)
/CRITERIA=CI(. 95).
그러면 SPSS로 분석한 결과가 다음과 같이 나옵니다.

분석 결과표 중에 독릭표본 검정을 보고 가설검정을 합니다.

위에 결과표를 보면서 해석을 하면
1. 통계적 가설 진술
두 집단의 평균은 같아 / 두집읜 평균은 다르다
2. SPSS 통계 입력 후 결과 확인
3. 영가설기각 여부 결정 : 검증 통계량의 값 t=+4.632으로 임계치(+2.101)더 크므로 영가설에 기각한다.(t분포표 참고)
검증통계량의 유의 확률 .000으로 p: .05보다 작기 때문에 영가설에 기각한다.
4. 결론 도출 : 토론식 수업 집단과 강의식 수업 진담의 동기는 통계적으로 의한 차이가 있다.

다음장에서는 두 종속 표본을 이용한 종속 표본 T검증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
'대학원생활(유교과) > 대학원-통계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통계학 (1) - 통계이해하기 그리고 정규분표 설명과 Z값, T값, 백분위 (0) | 2022.01.21 |
---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