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대학원생활(유교과)/대학원-유아교육관련

유아놀이지도연구 - 제 8 장 교실 놀이의 풍부화: 놀잇감 및 교육과정

by 끼리이모 2023. 1. 26.

. 놀잇감과 발달의 관계

· 놀잇감과 유아발달간에는 양 방향 관계

- 놀잇감은 특정 유형의 놀이를 하도록 유아를 격려함으로써 발달을 직·간접적으로 촉진

. 놀잇감의 특징

개방적 놀잇감과 폐쇄적 놀잇감 개방적 놀잇감(구조화가 낮은 놀잇감): 유아가 가지고 놀이할 수 있는 방법이 다양하게 제공될 수 있는 놀잇감 ex) 모래, , 찰흙

개방성/폐쇄성의 중간 놀잇감 ex) 레고, 틴커 장난감

폐쇄적 놀잇감(구조화가 높은 놀잇감): 한정적인 방식으로만 사용할 수 있는 놀잇감 ex) 직소 퍼즐, 비행기 모형 장난감, 몬테소리 교구
단순한 놀잇감과 복합적 놀잇감 · 단순 구성단위: 한가지 조작적 요소만을 가진 장난감이나 놀잇감
ex) 아무런 부대소품도 주어지지 않은 모래더미
· 복합 구성단위: 두가지 관련된 놀잇감을 결합한 것
ex) 모래더미와 함께 플라스틱 삽, 양동이, 깔땍를 제공하는 것
· 초복합 구성단위: 세가지 이상의 상호연관된 놀잇감을 결합하는 것
ex) 다양한 유형의 모래놀이 소품과 함께 물을 제공하는 것
부드러운 놀잇감과 딱딱한 놀잇감 · 유아는 딱딱한 놀잇감 보다는 부드러운 놀잇감을 필요로 한다.
ex) 사람인형, 동물인형, 베개, 카펫, 플레이 도우 등
다문화적 놀잇감 · 유아가 사람을 묘사하는 놀잇감 혹은 사람의 그림을 포함하는 놀잇감을 사용하기 시작하면 다양성에 대한 고려가 중요
· 일반적으로 장난감 및 다른 놀잇감은 그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모든 가족의 다양성(인종, 민족성, 성별, 문화, 가족구조, 직업, 장애)을 반영해야 하며, 유아가 일상생황에서 접하지 못하는 유형의 사람들에게도 노출시켜야 한다.

. 놀잇감의 유형

모형 장난감 생물체 장난감/ 교통수단 장난감/ 극놀이 소품
교육용 장난감 퍼즐/ 글자카드, 블록, / 쌓기 놀잇감/ 지오보드/ 줄꿰이 놀잇감 등
구성 놀잇감 위 블록/ 테이블 블록/속이 빈 큰 블록/ 폼블록/ 재활용 놀잇감 등
대근육 놀잇감 밀고 당길 수 있는 장난감, 회전그네, 터널 등
게임 빙고/ 카드 짝 맞추기/ 뱀주사위 놀이 등
실제적 놀잇감 모래, , 미술재료, 문해관련 재료 및 나무 등

 

. 놀잇감의 선택

1. 일반적인 지침

· 장난감에 대한 초기 흥미가 높은가?/ 장난감에 대한 흥미가 오래 지속되는가?

· 성인의 감독 없이 거의 사용될 수 있는가?/ 장난감이 자아개념을 강화하는가?

· 장난감이 유아의 타인에 대한 존중을 강화하는가? / 장난감의 내구성이 높은가?

· 장난감이 갈등 및 논쟁을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을 가르치는가?

2. 연령별 놀잇감

영아기
(출생~12개월)
· 피아제의 감각운동기
· 움직이는 모빌을 눈으로 쫓고 사물을 두드리거나 차는 것, 딸랑이나 벨을 좋아함
· 거울: 영아들이 계속 움직이면서 스스로 흥미를 유지할 수 있음
· 실외에서 감각을 자극하는 것을 좋아함
걸음마기
(1~3)
· 타는 장난감, 밀거나 당기는 장난감, 큰 공과 음악소리가 나는 장난감과 함께 모래/물놀이 장난감, 자동차와 트럭, 간단하고 가벼운 블록/ 견고한 책
· 걸음마기에는 걷기를 배루고 달리고 기어오르는 것을 배우기 때문에 기본적인 기어오르기 구조물 제공
유아기 · 걸음마기에 필요한 장난감에 손인형, 속이 빈 큰 블록, 과학 및 측정도구, 다양한 퍼즐 등 많은 놀잇감 제공
· 대근육 및 소근육 놀잇감과 함꼐 다양한 과학, 수학, 문해, 미술 재료 제공, 극놀이 소품 필요
· 다양한 유형의 책 제공
· 실외 놀이터에는 그네, 사다리, 계단, 터널, 미끄럼틀 등 오르기 구조물과 광범위한 유형의 부속 재료 제공
학령기 · 복잡성과 도전요소 추가
· 부가적인 미술용품, 수개념 조작물, 측정 도구, 여러 가지 쓰기도구 등

. 놀이와 교육과정

놀이와 교육과정의 관계 · 분리/ 병렬/ 진정한 통합
· 교육과정에서 도출된 놀이/ 놀이에서 도출된 교육과정
유아교육 프로그램에서의 역할 (1) 몬테소리: 환경은 또다른 교사
(2) 레지오 에밀리아: 놀이가 유아로 하여금 발달 기술과 인지능력을 연습하고 정교화
(3) 발도로프: 모방과 놀이 강조, 개방적이 놀잇감 제공
(4) 프로젝트 접근법
(5) 하이/스코프: 계획-실행-평가
(6) 뱅크 스트리트