제 3 장 놀이 발달과 평가: 출생에서 8세까지
52230131 류수민
Ⅰ. 놀이 발달
· 놀이는 기능놀이-구성놀이-극놀이 등 낮은 수준의 요소를 통합하여 다음 수준으로 변화
· 연령과 관련된 놀이의 질적변화는 Piaget의 놀이 발달과 관련: 감각운동놀이-상징놀이-규칙있는 등
Ⅱ. 운동 놀이의 발달
신체놀이 및 조작놀이 |
· 신체 놀이와 조작놀이 발달은 신체발달, 경험, 연습에 달려있음 · ~생후 1년: 쥐기와 조작을 포함한 손의 기술 발달 · 출생~2세: 보다 정교한 형태의 조작놀이 ex) 책 넘기기 · 2세~3세: 신체놀이와 조작놀이의 급속한 발달 · 4세~5세: 스키핑, 기어오르기, 폴짝 뛰기, 달리기 · 5세~6세: 줄넘기, 재주넘기, 줄타기 묘기 등 |
이동 놀이 | · 달리기, 깡충뛰기, 잡기 놀이 등 |
거친 신체놀이 | · 사회놀이와 가장 놀이가 중첩된 이동놀이 · 2세 경 처음 시작되어 초기와 중기 유아기에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청년기에는 감소 · 레슬링 흉내, 달리기, 쫓기/도망가기, 차기, 달려들기, 쌓아올리기, 밀기, 때리기, 찌르기 등 · 일반적으로 여러 명의 유아 포함, 운나쁜 피해자가 될 뿐 아니라 강한 역할도 공유하는 역할 반전, 성차가 나타남 |
Ⅲ. 사물놀이의 발달
· 각성조절이론: 유아가 놀이를 하도록 자극하는 외부 세계에서의 동기적 요인에 초점
- 주어진 시간동안 특정 상황에서 사물을 가지고 하는 놀이를 이해하는 데 특히 유용
사물 조작놀이와 탐색놀이 | · Piaget: 재생적 동화/ 일반화된 동화 개념 사용 - 재생적 동화: 사물에 대한 행위의 반복 ex) 유아는 높이를 달리해서 딸랑이를 반복해서 떨어뜨린다. - 일반화된 동화: 재생적 동화에서 반복된 행위를 다른 사물로 확대 ex) 유아는 작은 공으로도 다양하게 떨어뜨리는 유형을 되풀이한다. · 사물놀이-상징놀이, 전상징적 행위도식-상징적 행위도식으로 발달적 전이 · 유아기의 사물놀이는 점차 탈중심화되며 복합적으로 변화 |
구성놀이 | · Smilansky: 기능놀이-구성놀이-극놀이 제안 · 4세경까지 구성놀이가 가장 우세한 놀이형태 · 구성놀이는 유아가 무엇인가를 만들기 위해 놀잇감을 사용하는 조직화되고 목표지향적인 놀이형태 · 블록놀이, 컴퓨터 놀이 등 |
Ⅳ. 상징놀이의 발달
가장행위와 사물 | · 자신이 중심이 되는 것→ 다른 사람이 중심이 되는 것으로 이동 · 보다 정교한 가장 변형 사용 ·보다 연속적이고 잘 조직됨 |
역할 수행과 주제 | · 사물을 이용하는 초기 가장행위와는 다르며, 유아는 가장 행위 뒤에 있는 역할 정체성을 추리하고 상상할 수 있게 됨 · 역할의 유형 기능적 역할/ 관계적 역할/ 인물역할/ 주변적 역할 · 역할 놀이는 전형적으로 놀이 주제와 연결 · 상위 의사소통 또는 상위 놀이는 발달된 사회 가작화의 특징 · 상징놀이는 구체적 조작기(7~11세)에 내면화 |
Ⅴ. 사회 놀이의 발달
사회 놀이에서 유아의 개인적 향상 | ·Parten: 고전적 연구에서 사회 놀이의 수준 -단독놀이(유아가 혼자서 노는 단계)→병행놀이(나란히 놀이를 하지만 함께 노는 것은 아닌 단계)→연합놀이(유아가 같이 놀이하고 공유하는 단계)→협동놀이(역할의 분담과 공유가 이루어지는 단계) 비참여행동과 방관자적 행동(유아가 자유놀이 시간 동안 놀이에 참여하지 않는 것) · 단독 놀이의 하위 범주: 억제된 행동/ 단독 능동적 행동/ 단독 수동적 행동 |
집단 역동 | · 또래문화: 유아교육기관에서의 경험을 공유한 유아들에게 연대감을 기반으로 공통적인 활동, 의식, 규칙, 주제로 구성 · 참여기술과 놀이 전이 |
사회적 유능감 | · 또래에 의해 수용/ 거부 혹은 무시 당하는 유아 |
Ⅵ. 6~8세의 놀이 발달: 신체놀이, 사물놀이, 상징놀이, 규칙있는 게임
Ⅶ. 놀이 평가
관찰법 | · 놀이행동을 체계적이고 객관적으로 관찰하는 것 · 일시적인 요소들의 영향을 최소하 하기 위해 오랜 시간 관찰할 것 |
서술식 기록 | · 관찰자가 주어진 시간 동안 특정 장소에서 관찰하고자 하는 상황, 참여자, 행동에 대하여 가능한 한 많이 기록하려고 할 때 사용 · 교사나 연구자가 특별히 관심있는 모든 행동에 대하여 조작적으로 정의하고 서술식 기록에서 나타나는 특별한 예에 주목하도록 권장 · 조작적 정의와 예들은 정확하고 분명할 것 · 일화기록: 사건이 일어날 때 또는 일어난 직후에 쓰인 상황이나 사건에 대한 간략한 서술적 기록( 유아의 이름, 날짜, 놀이 상황, 관찰된 사건과 결과에 대한 정확한 기술 등 상당한 양의 서술적 정보 포함) |
매체를 활용한 놀이 기록 |
· 사진: 놀이 행동에 대한 시각적 표상을 갖기를 원하는 연구자나 연구자로서의 교사에 의해서도 사용, 사진마다 관찰 기록을 주석으로 달 것 · 비디오 기록 : 유아 놀이에 대한 중요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 제공 - 관찰로 가능한 것 보다 놀이행동에 대한 자세한 기록을 제공 |
체크리스트 | · 관찰해야 하는 행동을 명확히 해주고 이러한 행동이 나타나는지의 여부를 기록하기 위한 간편한 체계 제공 정보를 빠르게 기록하는 방식을 제공하여 서술식 기록이나 일화 기록보다 효율적임 |
놀이 기록 작업 | · 놀이 관찰과 기록의 중요한 후속 작업 · 놀이 포트폴리오 |
'대학원생활(유교과) > 대학원-유아교육관련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유아놀이지도연구 - 제 5 장 발달에서의 놀이의 역할 (2) | 2023.01.23 |
---|---|
유아놀이지도연구 - 제 4 장 놀이에서의 다양성과 개인차 (1) | 2023.01.22 |
유아놀이 지도 연구-제 2 장 놀이이론 (6) | 2023.01.20 |
유아놀이 지도 연구 - 제 1 장 놀이에 대한 신념 (1) | 2023.01.19 |
유아교육개론 - 챕터 4 유아교육과 발달이론(2) (0) | 2022.01.31 |